병원 블로그? 2025년 10월 이후로 효과가 떨어지는 이유 + 대처 방법

안녕하세요. 위즈로컬마케팅 노희석 대표입니다.


오늘은 병원 블로그를 고려하는 원장님들께 실제 마케팅 효과에 대한 저만의 인사이트를 전달해드리려 합니다.


제 말이 100% 정답은 아니지만 적어도 깊은 내공과 통찰력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수많은 마케터와 원장님들을 상대하고, 많이 대행해보고 부딪혀 보면서 저만의 기준이 생겼기 때문에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고 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2024년도에 비해 2025년도는 블로그 효율이 점점 떨어지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크게 2가지입니다.


1. 경제 침체 현상 -> 이전 보다 돈을 덜 씀 -> 네이버 키워드 검색량 자체가 줄어듬 -> 검색 자체를 안하니 전반적인 네이버 마케팅 효율이 떨어짐
2. 개원 병원의 비율이 늘어남 -> 마케팅 경쟁의 과열화 -> 다른 플랫폼으로의 분산 -> 2020년도 초반까지만 해도 블로그 원툴로 해도 효율이 잘 나왔지만 최근 될수록 다양한 플랫폼으로 분산하는 경향성이 생김


이 부분만 잘 인지하셔도 예비 개원 원장님께서 대략적인 마케팅 전략에 대한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이 이유들이 이전과 똑같이 블로그 상위노출을 해도 효율이 점점 떨어지는 대표적인 케이스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블로그만 전문으로 하는 대행사와만 마케팅을 진행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 것입니다.






블로그 마케팅, 이제 안하는 게 나을까요?


그렇지만 블로그 마케팅은 여전히 강력한 병원 마케팅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한국인들은 네이버를 통해서 정보를 얻고 있으니까요.


광고성 글이라도 아예 없는 것과 우리 병원이 노출되고 있는 상태라면 처음 보는 입장에서 적어도 인지를 시킬 수는 있습니다.


거기에 고객 심리 상태를 고려한 키워드 기획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글 퀄리티가 받쳐준다면 내원시킬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죠.


다만 키워드 성격에 따라 어떤 키워드는 블로그가 효율이 좋고, 플레이스가 효율이 좋은지가 갈리는데요.


그것을 구분하는 기준은 3가지 입니다.


1.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가장 먼저 혹은 2번째로 보이는지의 기준 (블로그냐, 플레이스냐 등)
2. 메인 키워드(ex. OO피부과), 질환/증상, 시술/수술 등의 검색 성격에 따른 기준
3. 업종의 성격과 고객 동선(고객 여정 지도)에 따른 기준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미팅 때 자세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쓰기엔 내용이 다소 길고 이해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네이버 마케팅의 경우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키워드'입니다.


키워드의 속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매체를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으며, 병원의 USP와 브랜드 카피라이팅을 잘 설계하고, 실제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한 콘텐츠로 만들 때 그 콘텐츠가 매출로 전환이 됩니다.


이 포인트를 이해하신다면 병원 마케팅 대행사의 실력을 쉽게 파악하는 눈이 길러질 것입니다.





* 미리 개원 혹은 마케팅 관련 상담을 원할 시 아래 신청서를 통해 상담을 접수해주시면 20만 원 상당의 1:1 컨설팅을 무료로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주변에 소개해주셔도 좋습니다^^)


위즈로컬마케팅 1:1 맞춤형 컨설팅 신청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