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금 급여, 업무 강도가 괜찮은데, 언제쯤 개원할까? 2. 개원 후 잘 안 될수도 있는데, 그 전에 준비할 건 없을까? 3. 먼저 SNS를 키워볼까 싶은데, 얼굴 팔리는 건 좀 부담되네...
평소 의대 동기, 선후배들과 친하게 지내다 보니 개원 전에 SNS에서 눈에 띄는 활동을 하기엔 주변 사람들의 시선이 신경 쓰여서 고민입니다.
이 과정이 바로 <고객 아바타 설정>입니다.
저는 수달이라는 가상의 캐릭터를 상상하며 이 칼럼을 연재할 겁니다.
수달이는 가상의 캐릭터이지만, 아마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들의 고민과 맞닿아 있을 겁니다.
제가 이 친구에 대해 어떻게 이렇게나 자세히 아냐고요?
수달이는 실존 인물이거든요. (신원 특정을 예방하기 위해 살짝 각색했습니다.)
여러분들께서 캐치할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SNS는 내 지식을 나누는 무료 상담소다. 2. <실제 고객(환자) 한명>의 예시를 떠올린다. 3. 그분의 고민거리를 콘텐츠로 해결한다.
네이버, 유튜브, 인스타, 스레드 모든 매체 동일해요.
이 관점을 확실하게 잡지 않으면 SNS는 올바르게 성장할 수 없습니다.
알고리즘, 후킹, 바이럴은 그 다음이고요 이 관점이 먼저입니다.
막연하게 예비 고객을 상상하는게 아니고 실제로 나를 찾아온 환자분을 생각하고, 오로지 그사람'만'을 위한 콘텐츠를 만듭니다.
픽셀이 선명해질수록 내 콘텐츠가 날카로워지고 오히려 더 많은 타겟에게 노출이 됩니다.
예시를 보여드릴게요.
A 피부 미용의원 대표원장 권지용님께 오늘 찾아온 환자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제가 쓴 내용으로, 의료 처방 내용은 틀릴 수 있음을 감안해주시길 바랍니다.)
이름 : 이미모 방문한 이유 : 여드름 피부 구체적인 상황 - 만 23세 여성, 전형적인 염증성 여드름 피부, - 화농성 여드름 및 붉은 자국이 얼굴 전반적으로 난 상태. - 피지선 파괴 및 붉은 자국 완화 필요. - 패인 흉터 및 요철은 추후 경과를 보며 진료 시기 판단 예정. 처방 내용 - 얼굴 전체 압출 - 피지선 파괴를 위해 에토좀 골드 PTT - 붉은 자국 완화를 위해 브이레이저 - 염증주사, 더마큐어로 마무리
위 타겟의 고민을 소구점으로 잡고 SNS 브랜딩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 예비 고객 페르소나를 챗GPT에 넣어 콘텐츠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결과는 이렇게 나옵니다.
여기에서 진료 결과의 정확도는 낮을 수 밖에 없죠. (챗GPT는 거짓말을 칩니다.)
우리 병원, 혹은 내가 콘텐츠에 활용할 시술 리스트를 입력해주면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혹은 같은 '여드름 피부' 카테고리 내에서 다른 고민이 있는 고객을 공략할 수 있어요.
아래와 같이 요청하면 됩니다.
오늘 칼럼의 핵심은 2가지입니다.
1. 실제 방문한 환자 1명의 사례로, 가상의 고객 아바타 만들기 2. 내 SNS는 온라인 무료 상담 채널로 생각하기 3. 챗GPT로 콘텐츠 기획하기